usrbin
컴퓨터 일기
usrbin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
공지사항

  • whoami
  • 분류 전체보기 (127)
    • 깔짝할짝 (61)
    • 잡지식 (30)
    • Network (7)
      • Programming (3)
      • Study (4)
    • Mobile (13)
    • Reversing (5)
      • Win API (2)
      • 분석 (0)
    • Kernel (4)
      • linux (1)
      • Windows (3)
    • Programming (5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방명록

인기 글

태그

  • network
  • nethunter
  • System
  • BOF
  • Scapy
  • Android
  • forensics
  • Reversing
  • xcz.kr
  • x64dbg
  • pcap
  • HEVD
  • Network Programming
  • ftz
  • pwnable.kr
  • libpcap
  • monitor mode
  • qt
  • Pwnable
  • suninatas
  • Digital Forensics
  • PWN
  • System Hacking
  • HackCTF
  • pwntools
  • pcapng
  • sql injection
  • Hive Ransomware
  • Follina
  • Packet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usrbin

컴퓨터 일기

[Windows] VMware windbg 설정(+ windbg preview)
Kernel/Windows

[Windows] VMware windbg 설정(+ windbg preview)

2020. 8. 9. 15:39

당연히 windbg 는 일단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한다. (https://docs.microsoft.com/en-us/windows-hardware/drivers/debugger/debugger-download-tools)

Environment

  • Host: Windows 10 64bit
  • Guest: VMware 15, Windows 10 64bit
    • Guest OS에 Secure boot 해제 시켜놔야 한다.(Settings > Options > Advanced)

Settings

Guest OS

windbg 를 설치한 Host OS에서 C:\Program Files (x86)\Windows Kits\10\Debuggers\x64 경로에 보면 kdnet.exe 와 verifiedNICList.xml 을 찾을 수 있는데 이를 복사해서 Guest OS로 가져간다.

C:\KDNET>dir
 C 드라이브의 볼륨에는 이름이 없습니다.
 볼륨 일련 번호: A245-0C27

 C:\KDNET 디렉터리

2020-08-09  오후 02:38    <DIR>          .
2020-08-09  오후 02:38    <DIR>          ..
2019-12-06  오후 10:09            69,576 kdnet.exe
2019-10-15  오후 01:51            15,109 VerifiedNICList.xml
               2개 파일              84,685 바이트
               2개 디렉터리  38,138,531,840 바이트 남음

C:\KDNET 폴더를 생성해서 거기다가 넣어준다.

C:\KDNET>kdnet

Network debugging is supported on the following NICs:
busparams=11.0.0, Intel(R) 82574L Gigabit Network Connection, KDNET is running on this NIC.

kdnet.exe 를 실행시켜서 사용 가능한 NIC가 있는지 확인한다.

C:\KDNET>kdnet [HOST IP] [port]

port는 50000~50039 사이를 권장한다고 한다. 위 명령을 실행하고 나면(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함) 이제 Host OS에서 실행할 명령어를 던져준다!

windbg -k net:port=50001,key=****.****.****.****

이런 형태로 준다. 키는 각자 값이 다 다르니까 그걸로 사용하면 된다. 이제 Guest OS에서의 설정인 끝이다.

Host OS

아까 파일을 복사했던 C:\Program Files (x86)\Windows Kits\10\Debuggers\x64 여기에서 cmd 창을 하나 띄워준다. 그리고 위에서 알려준 명령어를 쳐주기만 하면... 끝이다

디버거가 켜졌는데 게스트에 안붙었으면 게스트를 리부팅 해주면 된다.

@echo windbg on

path C:\Program Files (x86)\Windows Kits\10\Debuggers\x64

start windbg -k net:port=50001,key=4u3cogrum3yv.2qg40oldkhqvw.uhtbbp2ki6s8.307eefdcg0nb0

pause

이런식으로 .bat 배치파일을 만들어 놓는게 편하다

+) 추가로 WinDbg Preview가 더 쓰기 좋다해서, 이것도 작성한다.

windbg -k net:port=50001,key=****.****.****.****

여기서, 포트번호랑 key값을 기억하면 된다.

그리고 WinDbg Preview를 켠다.

File을 눌러서 Attach to kernel을 선택한다.

여기다가 이제 포트번호랑 key만 제대로 입력해주면 된다! 저러고 오케이 누르고, 디버기 윈도우를 재부팅하면

브레이크도 제대로 걸린다~ 이제 공부해야지

검색하면 주로 나오는 시리얼 포트? 를 이용해서 하는거보다 이 방법을 권장한다고 WinDbg preview 뭐 설정하다가 봐서.. 뭐 아무튼 이렇게 하면 된다!

-끝-

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(새창열림)

'Kernel > Windo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Windows][HEVD] stack overflow  (1) 2020.09.30
[Windows][HEVD] build 환경 구축(feat. Windows driver 개발 환경 구축)  (0) 2020.09.01
    usrbin
    usrbin
    컴퓨터 할거야

    티스토리툴바